딩동댕의 게임/여행라이프

[자격증] 2022 개정 후 정보통신기사 필기/실기 시험 후기 및 합격 결과 본문

전공 관련

[자격증] 2022 개정 후 정보통신기사 필기/실기 시험 후기 및 합격 결과

딩동빵 2022. 8. 14. 20:07
반응형

  무선설비기사 자격증 공부 범위가 정보통신기사 자격증 공부 범위랑 어느 정도 겹친다길래 쇠뿔도 단김에 뺄 겸 정보통신기사 시험에 도전했다. 무선설비기사를 올해 5월에 땄으니 가급적 빨리 보는 것이 외워둔 내용을 이용하기 좋을 것 같아 무작정 2회차 필기시험을 접수하고, 세화 과년도 문제집을 사서 공부했다. 원래는 2회차 실기 결과가 나오고 나서 기분 좋게 첫 도전만에 합격한 글을 쓰려고 했지만, 2022년도부터 정보통신기사가 개정되어 기존 기출 외에 신유형 문제의 비중이 높아져 난이도가 급상승했다. 그래서 중간 저장 겸 개정 후의 정통기 시험 후기를 써본다. 무선설비기사 필기 및 실기 공부와 합격 과정, 그리고 기사 자격증의 합격 라인 등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자격증] 무선설비기사 필기/실기 공부 과정 및 합격 팁

무선설비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공부한 시간을 기록해 볼까 한다(사실 타 블로그에 먼저 업로드해 두었는데, 서평 업로드랑 팁 업로드는 구분하는 게 좋을 것 같아 여기에 다시 정리한다). 전

dongdaeng-gamelife.tistory.com

 

1. 정보통신기사 필기

  정보통신기사 필기 난이도는 무난했다. 정보통신기사 과년도(2021) 세화 문제집만으로도 충분하다. 가격은 35,100원이다. 2022년도에 정통기가 일부 개정되고 신유형이 많이 나타났더라도 필기 시험은 여전히 무난했다. 무선설비기사를 공부할 때는 2012년도 기출부터 2021년도 기출까지 뺀 것 없이 전부 돌렸는데, 정보통신기사는 무선설비기사와 겹치는 부분이 꽤 있어 최근 5개년도(2017년-2021년) 기출만 총 네 번 돌렸다.

 

 

2022 정보통신기사 과년도 - YES24

정보통신은 무선통신과 함께 국가의 중추신경으로서 경제, 사회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핵심 통신기술이다. 정보통신은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www.yes24.com

 

  공부 과정은 다른 자격증과 똑같다. 애초에 문제은행에서 많이 나오기 때문에 처음 볼 때는 빠르게 훑고, 두 번째는 직접 풀어보고, 세네번째에 오답만 빠르게 돌려 꼼꼼히 살피면 된다. 하루에 1-2시간 정도 가볍게 투자해서 넉넉히 한 달 공부했는데, 정보통신기사 필기가 관련 자격증을 처음 공부하는 거라면 주당 5일 4시간 정도 잡고 하면 될 것 같다. 나는 무선설비기사를 딴 후인 2022년 7월달 2회차 필기시험을 응시했다. 응시료는 18,800원이었고, 무난하게 합격했다.

 

2. 정보통신기사 실기

  정보통신기사 실기는 필기 합격 후 바로 도전했다. 올해 말에 해외여행을 길게 떠날 예정이라 올해 4회차 실기는 볼 수 없기 때문에 2회차 실기를 깔끔히 합격하고 마음 편히 떠나고 싶었다. 그리고 이번 주 토요일인 2022년 8월 13일에 정보통신기사 2회차 실기를 보고 왔는데... 시험지 받자마자 가망이 없음을 깨달았다.

 

  우선 정보통신기사 실기 시험은 무선설비기사와는 다르게 단순 필답형이다. 무선설비기사는 작업형과 필답형을 함께 보기 때문에 실기 시험 장소가 한정적이라면, 정통기는 오직 필답형 문제만 있기 때문에 시험 신청이 박 터지지는 않았다. 준비물도 답안 기입용 흑색 볼펜(청색도 가능은 하다) 뿐이며, 시험 장소도 필기시험과 같이 일반 고등학교 목록을 준다. 또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응시료도 21,900원으로 적당하다.

 

  실기시험 대비는 보통 김태형 저자의 [온고지신]이나 인터넷 강의를 이용하는데, 전공자는 [온고지신]만으로도 충분하다는 평이 많아 나 또한 해당 책을 달달 외웠다. [온고지신]은 (1) 서술 문제(단순 필답형) (2) 원어 문제 (3) 계산문제 (4) 실무 문제 네 파트로 나뉘어 총 399문제를 제공한다. 

 

 

2022 온고지신 정보통신기사 실기 N제 - YES24

정보통신기사 실기 최근 10개년(2012~2021) 문제를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올해 개정판으로 출간하였다. 학습량에 있어 부담감을 덜어드리고자 문제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처음 접하는

www.yes24.com

 

  그런데 2022년 개정 후 1회차 실기 시험은 무난했다는 평이 많은 반면, 2회차 실기 시험은 역대급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내가 1회차를 보진 않아 잘 모르겠지만, 2회차는 확실히 신유형의 배점 비중이 컸고 이것이 타격이 컸다. [온고지신]의 내용을 전부 외우고 나니 실기 시험도 별문제 없이 통과할 거라는 기대를 품었으나... 시험지 첫 장부터 기출에는 없는 내용의 문제를 배점 10점을 찍어 주는 것이 아닌가. 문제를 쭉 훑었을 때 아는 것이 절반도 안 된다는 사실에 큰 실망을 느꼈다. 결론적으로, 2022년 정통기 실기 2회차는 단순히 문제은행만 봐서는 통과할 수 없게 나왔다. 대충 보았을 때 기출문제와 신유형이 45:55비율 정도인데, 기출문제도 약간 변형이 된 부분이 있어서... 아마도 여행을 갔다 온 이후 내년에 실기 시험을 다시 봐야 할 것 같은데, 그때쯤이면 개정 후의 내용도 함께 공부할 수 있을 테니 나쁘진 않을 것. 필기시험 합격 후 실기 시험 응시를 할 수 있는 유효기간은 2년이므로 시간도 넉넉하다.

 

3. 2022 정보통신기사 실기 2회차 기출

  아래에는 2022년 정보통신기사 실기 2회차 기출문제를 복원해두었다. 시험 끝나자마자 화장실에 틀어앉아 머리 싸매면서 쭉 복구했다. 시험은 총 18문제였고, 마지막 한 문제가 계속 기억나지 않아 애를 먹었다. 문제 순서는 실제와 다르므로 어떤 문제가 나왔는지만 확인하자. [온고지신]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출문제가 그대로 나오거나, 해당 문제와 거의 다를 바 없는 문제는 따로 표시해두지 않았고, 신유형 문제(혹은 신유형이 섞인 문제)에 빨간 볼드체로 표시를 해두었다. 답은 회색으로 표시해두었다. 아래 답은 내가 시험장에서 직접 쓴 것도 있고, 집에 와서 인터넷으로 확인한 것도 있으니 틀릴 수도 있다는 점. 적당한 답을 찾지 못해 공백으로 둔 부분도 있는데 이건 내년에 기출문제집으로 확인하는 게 더 빠를 것 같다. 인터넷에 쳐도 안 나온다;

 

 

 CCITTX 시리즈 권고안을 설명하세요.

(1) X.20 :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비동기 전송을 위한 DTE, DCF의 접속규격

(2) X.21 :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 DCF의 접속규격

(3) X.24 :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DTE와 DCF 사이의 교환 회로에 대한 정의

(4) X.25 :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패킷형 단말기를 위한 DTE와 DCE 사이의 접속규격

(5) X.75 : 패킷 교환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 상호간의 접속을 위한 노드 사이의 프로토콜

 

HDSL, SDSL, ISDN 등의 송수신 속도가 대칭을 이루는 전송장비에 사용되는 선로부호화 방식으로, 2비트를 4단계 진폭으로 구현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 2B1Q(2 Bit 1 Quaternary)

 

 PCM 중 아날로그 신호에서 표본 값인 PAM 신호를 추출하는 처음 과정은?

: 표본화

 

 IP 계층에서 보안을 위해 쓰이며, 패킷 단위로 정보의 기밀성, 인증, 무결성을 담당하고 VPN 구축에 쓰이는 프로토콜은?

: IPsec(IP Security)

 

 IPS는 침입 기술에 대해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침입을 막고 보호하는 능동형 보안 솔루션으로, 두 가지 종류로 나눈다면?

: 네트워크 방식 / 호스트 방식

 

 공유 매체 접근 방식 중 CSMA/CD 방식에 비해 Token passing이 갖는 장점 3개와 단점 2개를 서술하시오.

(1) 장점 : 노드 간 충돌 발생이 없음 / 트래픽이 많을 때에도 안정적으로 작동 / 단말기 고장 시 다른 단말기로 우회하여 통신 가능

(2) 단점 : 토큰 분실 가능성이 존재함 / 기술 구현이 복잡함

 

무선LAN IEEE 802.11 프로토콜 관련 문제에 답 하시오.

(1) 무선LAN IEEE 802.11 프로토콜 중 전송속도는 54Mbps이며, DSSSOFDM 방식에 쓰이는 것은?

: 802.11g

(2) 무선LAN IEEE 802.11 프로토콜 중 40MHz 대역폭에서 600Mbps의 전송속도가 가능한 방식은?

: 802.11n

 

 설비표준 등에 기반하여 통신설비공사에 해당되는 것을 보기 중에서 4개 고르시오.

: 전송설비공사 / 통신선로설비공사 / 이동통신설비공사 / 교환설비공사

 

 그림으로 전송로를 제시하고, 전송로 손실이 몇 [dB]인지,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계산하시오.

: -3.01dB

 

공사 및 설계 관련 자료에 대한 설명이 주어지고, 각 설명에 맞는 용어를 쓰시오.

: 두 문제가 주어졌고, 답을 찾지 못함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구내간선계 : 구내에 설치되는 주배선반 또는 주단자함에서 각 건물의 건물배선반, 동배선반 또는 동단자함을 연결하는 배선체계와 건물배선반 등을 상호 연결하는 배선체계를 말한다.

(2) 건물간선계 : 동일한 건물내의 건물배선반 등에서 중간배선반, 중간단자함, 층배선반 또는 층단자함을 연결하는 배선체계와 건물내 중간배선반 등을 상호 연결하는 배선체계를 말한다.

 

⑫ 순공사원가가 총 3,500만원일 때 재료비는 1,200만원, 경비는 300만원이 든 경우 노무비를 계산하시오.

: 2,000만원

 

아래 두 문제에 답 하시오.

(1) 잡음이 없는 20KHz의 대역폭을 이용해 28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신호 준위 개수 M의 값은 얼마인가?

: 128

(2) 2MHz의 대역폭을 갖는 채널이 있다. 이 채널의 신호 대 잡음의 비(S/N)63일 때, 채널 용량 C의 값은 어떻게 되는지 구하시오.

: 12Mbps

 

주어진 용어의 원어를 작성하시오.

(1) 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2) LTE : Long Term Evolution

(3) DNS : Domain Name System

 

OTDR 원어와 용도를 작성하시오.

(1) 원어 :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2) 용도 : 광섬유의 장애점 또는 손상 등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는데 사용

 

프로토콜 분석기로 BERT(BER Tester)를 할 때 여러 모드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모드를 설명하시오.

(1) CONTINUE : 답을 찾지 못함

(2) R-BIT : 답을 찾지 못함

(3) RUN TIME : 답을 찾지 못함

 

전기통신망 및 서비스 계획,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망에서 중앙관리(NMS) 주요 기능 5가지를 적으시오.

: 계정관리 / 구성관리 / 보안관리 / 성능관리 / 장애관리

 

 접지설계공법 중 전위차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훨씬 간편하고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식은?

: 2극 측정법

 

4. 결과 및 후기

  그리고... 합격했다? 결과가 9월 초쯤 나온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합격하리란 기대를 아예 하지 않아서 그런지 까먹고 있다가 어제 겨우 떠올랐다. 그런데 합격자는 발표날 아침 문자로도 확인해 보라고 온다기에... 나는 그런 문자를 받은 기억이 없어 조회할 때까지만 해도 정말 기대가 없었다. 그런데 웬걸 합격했다.

 

정말 감사합니다

 

  자격증 취득 정보에 들어갔는데 2개가 뜨길래 내 눈을 의심했다. 믿기지가 않아서 다시 한번 합격 여부를 확인하고... 수첩+카드 발급까지 신청하니까 실감이 나더라. 점수는 딱 실기 합격 점수 턱걸이인 60점! 그래서 예상하건대 이번 실기 난이도가 개 헬이었던 걸 감안해서 부분 점수를 후하게 준 게 아닌가 싶다.

 

이런 딱 맞는 이쁜 숫자가 있나

 

  그나저나 기대하지 않았던 자격증 합격 소식에 다른 자격증 시험도 욕심이 생긴다. 여행 갔다 와서 시간이 되면 전기기사에 도전해 봐야겠다.

 

EZ하지만 어쨌든 쌍기사!

반응형
Comments